Korean J Med > Volume 96(2); 2021 > Article
폐결핵으로 치료 중 범혈구감소증으로 발현한 전신홍반루푸스

요약

결핵약은 혈액장애를 비롯한 많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그렇지만 결핵약에 의한 범혈구감소증은 매우 드물다. 해당 환자에서 결핵약을 복용하던 중 지속되는 범혈구감소증에 대해 약제 관련 부작용 가능성을 가장 먼저 감별하고자 하였으나, 약제와 무관한 다른 질환의 발현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원인 질환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환자가 여러 질환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Abstract

A 49-year-old Chinese woman presented to Ilsan Paik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with fever and general weakness. Chest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cavity and peribronchial nodules and consolidation in the right upper lobe. A diagnosis of suspected active tuberculosis was made. A review of the patient’s medication prescribed at another hospital indicated that she had been taking antituberculosis medication for several months. Initially, the patient had anemia and mild thrombocytopenia. In addition, she developed leukopenia and her thrombocytopenia worsened. After discontinuing the antituberculosis medication, her pancytopenia initially improved, but was aggravated again after starting on antituberculosis drugs. Despite discontinuing the antituberculosis medication again, her pancytopenia progressed. As she had a high anti-nuclear antibody titer, another systemic disease was suspected. She was diagnosed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d her leukopenia and thrombocytopenia improved after initiation of treatment with systemic steroids and antimalarial drugs.

서 론

골수기능억제는 결핵약제의 흔한 부작용으로, 특히 리팜핀에 의한 혈소판감소증이 잘 알려져 있다[1]. 백혈구감소증과 빈혈도 혈소판감소증보다 덜 치명적이지만 발생할 수 있다[2-10]. 그렇지만 결핵약에 의한 범혈구감소증은 매우 드물다. 결핵약의 부작용에 의해 결핵약의 종류나 투약 기간에 영향을 받는다면 결핵 치료가 충분히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결핵약의 부작용은 중요하다. 저자들은 결핵치료 중 범혈구감소증이 발생한 환자를 경험하면서 혼란스러운 진단 과정을 겪었기에 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49세 중국인 여자 환자가 한 달간 지속된 전신쇠약과 내원 전날부터 발생한 발열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초기 활력징후는 혈압 84/46 mmHg, 맥박수 96회/분, 호흡수 24회/분, 체온 38.4℃였다. 기침, 가래를 호소하고 있었고 호흡곤란은 없었으며, 왼쪽 발목과 뒤꿈치의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3년 전 당뇨를 진단받고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이외의 기저 질환은 없었다고 하였으며, 마르고 급성 병색을 띄고 있었다. 신체 검진에서 오른쪽 폐상엽 부위에서 수포음이 청진됐으며, 왼쪽 발목에 3단계의 욕창이 있었다. 흉부 엑스선 검사에서 오른쪽 폐상엽에 경화가 관찰되었고,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에서 우상엽에 공동과 기관지 주변 결절 및 경화 소견이 관찰되었다. 초기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수는 3,870/µL,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10.2 g/dL, 혈소판(platelet) 수는 112,000/µL, 호중구 (neutrophil) 수는 2,680/µL, C-reactive protein은 1.9 mg/dL였다. 혈청 단백질은 6.34 g/dL, 알부민은 2.75 g/dL,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는 8.7 mg/dL, 크레아티닌은 0.41 mg/dL였다. 환자는 활동성 결핵이 의심되었다. 왼쪽 발목의 욕창도 발열의 원인으로 의심되었다. 환자는 격리 병실로 입원하였고, 결핵균 검사를 위해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계획하였다. 발열의 원인에 대해 폐병변 및 욕창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여 경험적 항생제로 piperacillin/tazobactam과 vancomycin을 투약하였다. 입원 후 보호자를 통해 환자가 타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을 확인하였고, 이 중에는 isoniazid, levofloxacin, ethambutol, pyrazinamide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보건소 및 결핵약을 처방하였던 병원의 의무기록을 확인하였다. 환자는 내원 4개월 전 배양 양성 폐결핵을 진단받아 일차약제로 결핵 치료를 시작하였고, 일차약제 복용 2주 후 혈소판감소증이 발생하여 rifampin을 중단하고 levofloxacin으로 변경하여 처방받은 상태였다. 내원 한 달 전부터 전신쇠약감으로 인해 식사를 잘 하지 못하고 스스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어 약 복용을 거의 하지 않고 지냈다고 하였다. 입원 2일째 WBC 수는 2,390/µL, 혈색소는 9.3 g/dL, 혈소판 수는 88,000/µL, 중성구 수는 1,540/µL였고, 3일째에는 2,040/µL, 8.0 g/dL, 86,000/µL, 1,470/µL였다. 내원 당일 소변 검사에서 4+의 단백뇨가 관찰되었고, 소변 단백 대 크레아티닌 비(urine protein to creatinine ratio) 검사에서 2,270 mg/g (Cr)이었다. 기관지 세척액의 항산성염색에서 1+였고, Xpert MTB/RIF (Cepheid, Sunnyvale, USA) 검사에서 rifampin 내성 유전자는 검출되지 않았다. 복용 중이던 결핵약과 piperacillin/tazobactam, vancomycin은 함께 투약하기로 하였다. 입원 7일째에 발열은 호전되었다.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감염 증거는 없어 vancomycin은 중단하였다. Piperacillin/tazobactam은 입원 13일째에 중단하였다. 항생제 중단 후 백혈구감소증과 빈혈이 진행하여 WBC 970/µL, Hb 7.4 g/dL, 혈소판 112,000/µL, 호중구 430/µL로 악화되었다. 발열이 다시 발생하였고 발열 원인이 뚜렷하지 않아 호중구 감소 발열에 대한 치료를 위해 cefepime 투약을 시작하였다.
범혈구감소증의 원인에 대한 초기 감별 진단은 염증, 투약하였던 항생제 혹은 투약 중인 결핵약에 의한 범혈구감소증이었다. 말초혈액도말 검사 결과는 감염 및 염증에 의한 혈구감소증 소견이었다. 결핵약에 의한 약제열 가능성도 고려하여 입원 16일째에 투약 중인 항결핵제를 모두 중단하였다. 입원 27일째에 호중구 수는 1,880/µL로 상승하였고 발열은 감소하는 추세였다. 범혈구감소증의 원인약제를 감별하기 위해 약제를 하나씩 추가해보기로 하였다. 먼저 isoniazid 추가를 시도하였고, 호중구 수가 930/µL까지 감소하여 5일간 투약 후 중단하였다. 투약 중단 2일 후 발열이 다시 발생하였고 농뇨와 세균뇨가 동반되어 cefepime을 다시 투약하기 시작하였다. 발열이 발생하면서 호중구감소증과 혈소판감소증이 더 악화되었고, 빈혈 역시 악화되어 WBC 1,210/µL, 혈색소 8.3 g/dL, 혈소판 50,000/µL, 호중구 480/µL로 감소하였다. 의심 약제 중단 후에도 악화되는 범혈구감소증이 감염이나 항생제 혹은 결핵약의 부작용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기에는 어려웠다. 골수 검사를 고려하면서 의무기록을 다시 검토하였다. 환자는 6년 전 혈구감소증과 안면 홍조가 있어 항핵항체(anti-nuclear antibody) 검사를 받았고, 당시 결과는 1:640이었으나 검사 결과 확인 및 검사 이후 이에 대한 진료를 보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환자에게 안면 홍조 및 발진에 대해 물었을 때, 약 20년 전부터 안면의 홍조가 있었고 최근에 더 심해진 양상은 아니라고 하였다. 항핵항체 검사를 재 시행하였고, 결과는 1:640 (homogenous pattern)이었다. 추가 검사를 위해 다른 자가면역항체 검사와 보체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항 ds DNA 항체(anti-ds-DNA antibody)가 양성이었고 C3 농도가 54 mg/dL로 감소돼 있었다. 류마티스 내과와 협진을 통해 뺨의 나비모양 홍반, 백혈구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항핵항체 양성, 항 ds DNA 항체 양성, 낮은 보체 농도 소견을 종합하여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로 진단하였다. 이에 대해 prednisolone과 hydroxychloroquine 투약을 시작하였으며, 약 복용 후 특이 부작용 없이 안정적인 임상 경과를 보여 결핵약제를 유지하면서 퇴원하였다. 퇴원 2주 뒤 외래로 내원하여 시행한 혈액 검사에서 WBC 3,210/µL, 혈색소 9.8 g/dL, 혈소판 221,000/µL, 중성구 2,280/µL였다(Table 1). 이전에 rifampin에서 levofloxacin으로 변경하였었던 이유인 혈소판감소증도 SLE 증상이었을 가능성을 고려해서 추후 혈액 검사에서 혈소판 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경우 rifampin의 재투약을 고려하고 있다.

고 찰

결핵 환자에서 약제 관련 백혈구감소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일차약제 치료 중 백혈구감소증의 위험인자는 고령, 이전에 오랜 기간 결핵약 복용 후 재치료인 경우, 치료 초기의 낮은 WBC 수와 여성이다[11,12]. 또한 Nagayama 등[13]은 isoniazid와 rifampin이 백혈구감소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Rifampin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안정적으로 복용하지만 일부 환자들에게서 혈소판감소증이나 간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1]. Isoniazid가 혈소판감소증을 유발한다는 증례보고들도 있다[2,3]. 또한 pyrazinamide도 드물지만 혈소판감소증을 유발한다[4,5]. 결핵 진단 당시에 빈혈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Lee 등[14]에 따르면 한국에서 결핵으로 진단받은 사람들 중 빈혈은 32%에서 동반되어 있었고, 이 중 72%는 정상 적혈구 정상색소 빈혈(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이었다. Isoniazid에 의해 순수 적혈구 무형성(pure red blood cell aplasia)이 발생할 수 있고[6,7], 철적모구빈혈(sideroblastic anemia)도 발생할 수 있다[8]. Pyrazinamide에 의해서도 철적모구빈혈이 발생한다[9]. 드물게 ethambutol에 의한 hemolytic anemia가 발생할 수 있다[10].
범혈구감소증은 그 자체가 특정 질환이 아니라 다양한 질환의 경과로써 나타난다. 범혈구감소증의 원인 감별을 위해서는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을 감별해야 한다. 후천적인 질환에는 골수 부전, 골수 침윤, 자가면역성 파괴, 영양 부족, 비장에서 제거, 기타 다른 원인들 및 특발성 등 다수의 질환이 속해 있다[15]. 전체 혈구 계산(complete blood cell count)에서 확인된 범혈구감소증은 약이나 독소에 의해 발생한 경우를 먼저 감별해야 한다[16]. 증례의 환자는 결핵약을 복용 중이었으므로 약의 부작용을 먼저 감별하고자 하였다.
폐외결핵이 범혈구감소증을 동반한 형태로 발현된 증례들이 보고된 바 있고 결핵 치료 후 호전되었다[17,18]. Isoniazid에 의해 약제 유발 루푸스 홍반(drug induced lupus erythematosus, DLE)이 발생할 수 있고 Shah 등[19]은 범혈구감소증으로 발현한 isoniazid 유발 루푸스 홍반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약제 유발 루푸스는 SLE에 비해 anti-histone antibody가 양성으로 나오는 경우가 더 흔하고, 항 ds DNA 항체와 낮은 보체 농도를 보이는 경우는 드물다[19,20].
10일 이상 betalactam 항생제를 투약하는 경우 혈액부작용이 더 많이 발생한다[21]. Piperacillin tazobactam에 의한 범혈구감소증은 흔하지 않다[22]. Piperacillin/tazobactam의 경우 호중성백혈구 감소가 가장 흔하고 골수독성은 누적 용량과 관계 있다[23]. Piperacillin/tazobactam에 의한 혈소판감소증은 골수억제보다 면역매개혈소판감소증(immune-mediated thrombocytopenia)으로 더 잘 발생해서 투약 7-14일경에 혈소판감소증이 발생한다[24,25].
SLE 환자에서도 범혈구감소증이 발생하는 경우 치료 약제, 감염, 대식세포 활성 증후군(macrophage activation syndrome) 등의 동반 원인을 감별해야 한다[26]. SLE로 진단된 후 지속되는 범혈구감소증 환자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감염이 같이 진단되어 항바이러스 치료 후 혈구감소증이 호전된 증례가 보고된 바 있다[27]. 본 증례의 환자에서도 SLE와 결핵 감염이 동시에 범혈구감소증의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REFERENCES

1. Schonell M, Dorken E, Grzybowski S. Rifampin. Can Med Assoc J 1972;106:783–786.
pmid pmc

2. Laub DR Jr. Isoniazid causing drug-induced thrombocytopenia. Eplasty 2011;11:ic10.


3. Yakar F, Yildiz N, Yakar A, Kılıçaslan Z. Isoniazid- and rifampicin-induced thrombocytopenia. Multidiscip Respir Med 2013;8:13.
crossref pmid pmc

4. Kant S, Verma SK, Gupta V, Anand SC, Prasad R. Pyrazinamide induced thrombocytopenia. Indian J Pharmacol 2010;42:108–109.
crossref pmid pmc

5. Bansal R, Sharma PK, Sharma A. A case of thrombocytopenia caused by rifampicin and pyrazinamide. Indian J Pharmacol 2013;45:405–407.
crossref pmid pmc

6. Azhar W, Zaidi F, Hannan A. Isoniazid induced pure red blood cell aplasia. Cureus 2020;12:e7112.
crossref pmid pmc

7. Holla SK, Achappa B, Manibettu Raguram P, Yerramsetti S. Isoniazid-induced pure red cell aplasia. BMJ Case Rep 2018;2018:bcr2018226134.
crossref pmc

8. Piso RJ, Kriz K, Desax MC. Severe isoniazid related sideroblastic anemia. Hematol Rep 2011;3:e2.
crossref

9. Colucci G, Silzle T, Solenthaler M. Pyrazinamide-induced sideroblastic anemia. Am J Hematol 2012;87:305.
crossref pmid

10. Nicolini A, Perazzo A, Gatto P, et al. A rare adverse reaction to ethambutol: drug-induced haemolytic anaemia. Int J Tuberc Lung Dis 2016;20:704–705.
crossref pmid

11. Lin FS, Wu MY, Tu WJ, et al. A cross-sectional and follow-up study of leukopenia in tuberculosis patient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impact of anti-tuberculosis treatment. J Thorac Dis 2015;7:2234–2242.
pmid pmc

12. Lee SW, Lee SM, Yoo CG, et al. Leukopenia during treatment with first-line anti-tuberculosis medication. Respiration 2005;72:660–661.
crossref

13. Nagayama N, Shishido Y, Masuda K, et al. Leukopenia due to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including rifampicin and isoniazid. Kekkaku 2004;79:341–348.
pmid

14. Lee SW, Kang YA, Yoon YS, et al. The prevalence and evolution of anemia associated with tuberculosis. J Korean Med Sci 2006;21:1028–1032.
crossref pmid pmc

15. Onuoha C, Arshad J, Astle J, Xu M, Halene S. Novel developments in leukopenia and pancytopenia. Prim Care 2016;43:559–573.
crossref pmid

16. Gnanaraj J, Parnes A, Francis CW, Go RS, Takemoto CM, Hashmi SK. Approach to pancytopenia: diagnostic algorithm for clinical hematologists. Blood Rev 2018;32:361–367.
crossref pmid

17. Dalugama C, Gawarammana IB. Fever with pancytopenia: unusual presentation of extrapulmonary tuberculosis: a case report. J Med Case Rep 2018;12:58.
crossref pmid pmc

18. Alghamdi AA, Awan FS, Maniyar IH, Alghamdi NA. Unusual manifestation of extrapulmonary tuberculosis. Case Rep Med 2013;2013:353798.
crossref pmid pmc

19. Shah R, Ankale P, Sinha K, Iyer A, Jayalakshmi TK. Isoniazid induced lupus presenting as oral mucosal ulcers with pancytopenia. J Clin Diagn Res 2016;10:OD03–OD05.
crossref

20. Pretel M, Marquès L, España A. Drug-induced lupus erythematosus. Actas Dermosifiliogr 2014;105:18–30.
crossref pmid

21. Neftel KA, Hauser SP, Müller MR. Inhibition of granulopoiesis in vivo and in vitro by beta-lactam antibiotics. J Infect Dis 1985;152:90–98.
crossref pmid

22. Fry W, McCafferty S, Gooday C, Nunney I, Dhatariya KK. Assessing the effect of piperacillin/tazobactam on hematological parameters in patients admitted with moderate or severe foot infections. Diabetes Ther 2018;9:219–228.
crossref pmid pmc

23. Peralta FG, Sánchez MB, Roíz MP, Pena MA, Tejero MA, Arjona R. Incidence of neutropenia during treatment of bone-related infections with piperacillin-tazobactam. Clin Infect Dis 2003;37:1568–1572.
crossref pmid

24. Boyce K, Brar H, Stabler SN. Piperacillin/tazobactam-induced immune-mediated thrombocytopenia in the intensive care unit. J Clin Pharm Ther 2016;41:730–732.
crossref pmid

25. Loo AS, Gerzenshtein L, Ison MG. Antimicrobial drug-induced thrombocytopenia: a review of the literature. Semin Thromb Hemost 2012;38:818–829.
crossref pmid

26. Levine AB, Erkan D.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ytopenias in lupus patients. Curr Rheumatol Rep 2011;13:291–299.
crossref

27. Diaz P, Vieira MA, Carneiro A, Fernandes N. A case of pancytopenia with many possible causes: how do you tell which is the right one? Eur J Case Rep Intern Med 2019;6:001012.
pmid pmc

Table 1.
Laboratory findings and body temperature associated with changing medications during hospital course
Day WBC (/µL) Hb (g/dL) Platelet (/µL) Neutrophil (/µL) BT (℃) Anti-tuberculosis medications Antibiotics
1 3,870 10.2 112,000 2,680 38.8 INH, LFX, EMB, PZA PIP/TAZ, vancomycin
2 2,390 9.3 88,000 1,540 38.8 INH, LFX, EMB, PZA PIP/TAZ, vancomycin
3 2,040 8 86,000 1,470 38.8 INH, LFX, EMB, PZA PIP/TAZ, vancomycin
4 1,490 8 71,000 1,140 36.9 INH, LFX, EMB, PZA PIP/TAZ, vancomycin
5 1,840 8.4 80,000 1,240 38.2 INH, LFX, EMB, PZA PIP/TAZ, vancomycin
6 2,480 8.4 84,000 1,710 37.9 INH, LFX, EMB, PZA PIP/TAZ, vancomycin
7 2,890 8.1 91,000 2,040 37.5 INH, LFX, EMB, PZA PIP/TAZ
13 1,630 8.7 104,000 990 38.9 INH, LFX, EMB, PZA PIP/TAZ
14 1,550 9 111,000 870 37.4 INH, LFX, EMB, PZA
15 970 7.4 112,000 430 38.3 INH, LFX, EMB,
16a 510 8.1 110,000 130 39.2 Cefepime
17 4,990 9 121,000 4,170 38.8 Cefepime
25 2,490 8.7 164,000 1,590 38.4 Cefepime
26 2,530 8.6 165,000 1,740 39.1 Cefepime
27 2,410 9.8 163,000 1,880 38.2 INH Cefepime
28 2,400 8.9 162,000 1,580 38 INH
30 1,770 7.7 156,000 1,030 37.4 INH
31 1,650 8.4 148,000 930 37.3 INH
32 1,900 8.5 143,000 1,140 37.4
33 2,220 8.2 154,000 1,500 37.1
34 1,980 8.4 150,000 1,150 38 Cefepime
35 2,870 9 123,000 2,500 38.9 Cefepime
36 1,080 8.7 81,000 570 37 Cefepime
41 1,820 8.3 50,000 990 37.4 Cefepime
42b 1,450 8.2 57,000 570 37 Cefepime
43 1,260 8.6 70,000 570 36.8 INH, LFX, EMB, PZA Cefepime
44 1,500 7.8 77,000 600 37.1 INH, LFX, EMB, PZA
45 Discharged
14 days after discharge 3,210 9.8 221,000 2,280 37

BT, body temperature; EMB, ethambutol; Hb, hemoglobin; INH, isoniazid; LFX, levofloxacin; PIP/TAZ, piperacillin/tazobactam; PZA, pyrazinamide; WBC, white blood cell.

a The patient received a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injection.

b The prednisolone and hydroxychloroquine has been prescribed.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1,667 View
  • 169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