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Search

Close

Review
Korean J Med. 2006;71(1):231-231.
다발성 간 전이를 동반한 위의 악성 상피성 glomus 종양 1 예
오성남&#;오상철 &#;최도원&#;김연호&#;한우식&#;박종재&#;김재선&#;박영태&#;연
.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Life Science, Postech Biotech Center,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Abstract
서론 : Glomus 종양은 동맥 내 혈류량을 조절하는 neuromyoarterial receptor인 glomus body에서 기인하는 비교적 드문 종양이다. 대개의 경우 피부나 피하조직에서 발생하는 단일 양성 종양의 경우가 가장 흔하지만, 드물게 내부장기에도 발생한다. 지금까지 보고 된 위장관의 glomus 종양은 대부분 단일 양성 종양이었는데, 본 예와 같이 간 전이를 보이는 위장관 glomus 악성 종양은 문헌 검색 상 보고 예가 없어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증례 : 평소 특이병력 없던 남자 63세 환자가 5 개월전부터 지속된 상복부 및 우상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생체징후는 안정되어 있었으나 만성 병색이었고, 결막은 창백하였다. 간이 2 횡지로 만져졌고, 우상복부 에 압통이 있었다. 시행한 검사상 Hgb 10.2g/dL, 백혈구 13400/ul, 혈소판 438000/uL, AST 41 IU/L, ALT 25 IU/L, Total Bil 0.32 mg/dL, Protein 6.6 g/dL, Albumin 2.8 g/dL, CEA 1.6ng/mL, CA 19-9 2.8g/mL 의 소견을 보였다. 상복부 위장관 내시경 소견상 커다란 궤양형 병소가 위체하부의 소만부에서 췌상부까지 침윤되어 있었고 분문부를 침범하고 있는 양상이었다. 상복부 컴퓨터 단 층 촬영상 위의 저부와 체부에 침윤성 위벽 비후 및 다수의 저음영성 간종괴 소견을 보였고, 대동맥주위로 광범위한 림파절종대가 관찰되었다. 조직 생검상 위점막은 round cell 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상태였고, 이 종양세포의 핵은 크고 수포성이었다. 면역조직 화학염색 소견은cyto-keratin, CAM5.2, CD56, PAS, CD34, C-kit, desmin등에 음성소견을 보인 반면, vinmetin, smooth mucscle actin, caldesmon, synaptophysin, type IV collagen 에 양성 반응을 보여, 다발성 간 전이 및 림파절종대를 동반한 악성 상피성 glomus 종양을 진단할 수 있었다. 환자는 첫번째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후 경과 관찰중 궤양내 동맥 출혈로 사망하였다. 결론 : 위의 궤양형 병소에서 조직검사상 위장관 glomus 악성 종양에 합당한 소견을 보이고 간전이를 동반했던 환자로서, 이를 체험 하였기에 보고 한다.

Keywords :
hanmi ckdpharm. Memo patch
yungjin daewoongbio jw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