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view
-
Korean J Med. 2006;71(1):258-258.
- 후복막기복증, 종격동기종, 심막기종, 피하기종을 동반한 대장천공의 내시경적 치료 1예
-
박낙순이범재김동일김세윤정성우구자설이홍식이상우최재
-
.
- .
-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Life Science, Postech Biotech Center,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
- Abstract
- 최근 대장내시경은 진단적 목적뿐 아니라 대장 용종등의 절제를 위한 치료적 목적으로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대장내시경검사
는 비교적 안전한 술기로 인식되고 있으나 간헐적으로 출혈이나 천공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대장내시경 기구 및 술기의
발달로 대장내시경검사를 이용하는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합병증도 증가하고 있다. 대장내시경검사로 인한 대장천공은 내시
경을 삽입할 때 기계적 힘이나 압력 때문에 일어날 수 있으며, 지연되어 발견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치명적이고 응급을 요하는
합병증이다. 대장천공의 경우 횡격막하 유리공기(free air)가 나타나는 복강 내 천공(intraperitoneal perforation)은 흔히 관찰되나, 후
복막기복증, 종격동기종, 심막기종, 피하기종등을 유발하는 복강 외 천공(extraperitoneal perforation)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대장천공시 복막 외 천공이 발생한 경우는 외국에서도 몇 예에서만 보고되었고, 국내에서는 피하기종이 동반된 증
례가 1례 보고되었으나, 후복막기복증, 종격동기종, 심막기종, 피하기종이 모두 나타난 경우는 보고되지 않았다. 대장내시경검사 중
발생한 S 상 결장천공으로 후복막기복증, 종격동기종, 심막기종, 피하기종이 병발한 환자에서 5개의 클립을 사용하여 S 상 결장의
천공을 봉합하였다. 천공의 봉합은 성공적이었으며, 대장내시경 봉합술 후 환자는 비경구 영양 및 정맥 내 항생제를 투여 받은후
호전되었다.
Keywords :